본문 바로가기

일머리 스킬 쌓기

[일머리 스킬] 틀리기 쉬운 단어/문장/숫자 사용법

728x90

(출처: 픽사베이)

가끔씩 보고서를 작성하면서 이 표현이 맞는지 헷갈리는 경우가 있다. 그때 막연히 본인이 생각하는 단어가 맞겠지 하고 사용을 했는데 틀리게 되면 해당 표현 하나로 보고서 전체의 질을 평가받을 수 있음으로 늘 조심해야 한다. 특히나 아는 단어라고 생각하는 것들을 더 유심히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그래서 나는 가끔씩 글 쓰기 관련 단어/문장 고쳐쓰기 책들을 읽는데 오늘은 책 일하는 문장들(백우진 지음)에 나온 내용을 정리하여 올려 본다. 사용하면서도 늘 알쏭달쏭했는데 이번 기회에 개념이 조금 잡힌 것 같다.

1. 상승과 증가, 하강과 감소

구분 상승 증가 비고
의미 낮은 곳에서 위로 올라감.
비율처럼 낱개로 나뉘지 않는 수치에
쓰임
양이나 수치가 늚
낱개를 헤아릴 수 있는 수치에
쓰임
 
반대어 하강
(높은 곳에서 아래로 향하여 내려옴)
감소
(양이나 수치가 줄어 듦)
 
예시 물가 상승, 신분 상승, 주가 상승 수출 증가, 소득 증가, 자동차 수 증가  

예시) 고용률은 58.7%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0.1% 포인트 감소하락하였고 실업률은 4.9%로 0.3% 포인트 증가상승함. 가격은 1500원으로 300원 상승했다.
※ 숫자의 변화를 나타내는 단어로 증가/감소, 증액/삭감, 확대/축소, 성장/위축, 상승/하락, 향상/저하, 인상/인하로 다양하다. 확대/축소는 일부러 늘릴거나 줄일 때 쓰이고 '인상/인하'는 일부러 올리거나 내릴 때 쓰임. 

2. 기간과 시점

구분 기간 시점 비고
사용 매출, 영업이익 등 일정 기간에 걸쳐
나온 숫자를 표현함
부채나 자본 등 일정 시점에 나온
숫자를 표현함
 
예시 올해 1분기(1월~3월) 퇴직 연금 적립금은 126조 468억으로 집계됐다.
→ 올해 1분기 퇴직연금 적립금은126조 468억으로 집계됐다.
 

3. 첫째/첫 번째

구분 첫째 첫 번쨰 비고
사용 첫째, 둘째, 셋째는 여러 사람이나
사물의 순서를 가르킬때 사용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는 행위의
반복 될때 사용 
 
예시 우리 첫째 아이 이번이 서울에 세 번째 방문하는 것이다  

4. 빗금(/)과 가운뎃점(·)

구분 빗금/슬래쉬 가운뎃점 비고
사용 대비되는 두 개 이상의 어구를 묶어
나타낼 때 사용
공통 성분을 줄여서 하나의 어구로 묶어
나타낼 때 사용
 
예시 남반구/북반구 상·중·하위권 , 신문·잡지사, 감세·재정확대 정책  

5. 기타
   가. 1000~5000억 원 구간 내의 정확한 분포 → 1000억~5000억, 2.3~2.8조 원 →2.3조~2.8조 원
   나. 외국인은 70~80%의 높은 비중을 꾸준히 유지 → 외국인은 70%~80%의 높은 비중을 꾸준히 유지
   다. 설문조사 결과를 전하고 분석하는 보고서나 기사에는 소수점 아래가 필요한 때가 거의 없다. 소수점을 
         굳이 사용해야 한다면 소수점 아래 한 자리까지만 의미가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