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질문

[일머리 스킬] 업무를 잘 하기 위한 인터뷰 방법 업무를 하다 보면 인터뷰를 해서 정보를 얻어내야 할 때가 있다. 책이나 신문, 잡지, 논문 등을 통해 정보를 얻기도 하지만 실제로 일하는 사람으로부터 직접 정보를 얻어야 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일을 잘하기 위해서 인터뷰 방법을 익혀 두는 것이 필요하다. 인터뷰는 주로 정보를 얻거나 문제를 발견/정리할 때 활용되는데 인터뷰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인터뷰는 준비 → 실행 → 결과 정리의 3단계로 진행된다. 각 단계별 구체적인 내용을 알아보자 첫 번째 인터뷰 준비 단계이다. 인터뷰 준비단계는 인터뷰 목적을 정하고 목적을 맞는 인터뷰 대상을 결정해야 한다. 대상이 결정되면 상대방과 인터뷰 일자와 시간을 정하고 주요 질문 목록을 사전에 알려주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인터뷰 결과 정리 양식을 표준화하여 사.. 더보기
[일머리 스킬] 좋은 질문의 중요성과 방법,조건 직장생활에서 질문을 잘하는 것만큼 중요한 것이 없다. 질문 스킬은 일머리 스킬 중에서 가장 습득하기가 어려운 스킬 중 하나이나 어느 정도 수준이 올라가면 확연한 차별화 포인트가 된다. 아래는 내가 생각하는 질문의 중요성이다. 그리고 얼마 전에 있었든 모난 돌 부장의 대화에서 그 진가가 드러난다. 질문 스킬을 익혀 질문으로 리드하자 ◈ 질문의 중요성 좋은 질문은 상대방과 나에게 깨달음과 인싸이트를 준다. 좋은 질문은 분위기나 화제를 전환시킬 수 있다. 좋은 질문은 원활한 소통을 만들어 준다 대화를 리드할 수 있다 [아래 대화는 회사에 있었든 일을 일부 각색한 내용 임] 회사에 부장님이 조금은 언짢은 표정으로 자리에 와서 왜 그런 이메일을 보내서 분란을 일으키냐고 추궁하듯이 말한다. 모난 돌 부장은 흥분을 .. 더보기
[일머리 태도] 상대방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늘 고민하자 미국의 자동차 왕 헨리포드는 이렇게 말했다. “성공에 비밀이 있다면, 그것은 자신의 시각으로 사물을 바라보는 것뿐 아니라 다른 사람의 시각에서 사물을 바라보는 능력을 가지는 것이다” 일을 함에 있어 일을 잘한다고 하는 것은 상대방이 느끼는 만족도와 관련이 있다. 아무리 내가 일을 잘한다고 하여도 나를 평가하는 것은 내가 아닌 상대방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일을 잘하기 위해서는 일의 결과물을 받는 상대방이 무엇을 원하고 있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고 우리는 항상 상대방이 원하는 것이 무엇일까를 늘 고민하는 시간을 아끼지 않아야 한다. 그렇다면 상대방이 원하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사실 이것이 실전에서는 상당히 까다롭다. 다행히 명확하게 일을 주는 상대방이 무엇을 원하는지를 알려주면 상대방의 니.. 더보기
[일머리 스킬] 답변 기술(A를 물어보면 A를 대답하라) 우리는 얼마나 답변을 잘하고 있을까? 질문과 답변 모두 아는 게 있어야 잘하지라고 생각할 줄 모른다. 그러나 올바른 질문은 지식수준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겠지만 다르겠지만 올바른 답변은 다르다. 상대방이 물은 내용에 대해 자신이 아는 만큼 사실과 의견을 전달하면 된다. 그렇기에 답변은 상당히 쉬운 스킬로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회사 내에서 올바른 답변을 하는 사람들은 많지 않다. 사실 나도 이것을 인지하지 못했었는데 우연히 박소연 저자님의 책 "승진의 정석"을 보고 알게 되었다. 우리가 얼마나 올바른 답변을 하지 않는다는 것을 말이다 책에서는 훌륭한 보고의 네 가지 기술 중 규칙 2. A를 물으면 A에 대해 정확히 대답하라라고 조언하고 있다. 직장인의 80%는 제대로 안 한다고 한다. 책을 읽고 나서 업.. 더보기
[일머리 스킬] 질문으로 리딩한다. 이 주제는 나 역시 상당히 약한 부분이다. 대화중이거나 대화를 종료하고 나서 항상 "아 이게 아닌데~~"하는 자책을 하게되는데 그게 바로 질문으로 리딩하는 행동습관이다. 질문은 상대방을 끌어내는 굉장한 힘이 있다. 그래서 의도를 가지고 질문으로 리딩하면 내가 이루고자 하는 바와 상대방에게 남기고자 하는 메세지를 각인하기 좋은 방법이다. 근데 사실 이게 쉽지 않다. 나 역시 질문 관련한 책도 보고 평상시에 질문으로 대화를 끌고 가야지 하면서도 막상 대화를 하다 보면 잘 안되는 것이 사실이다. 근데 정말 일을 잘하는 경륜이 있는 사람들은 질문으로서 상대방이 리딩하게 된다. 몇일 전에 타 부서의 부장님과의 대화에서 질문으로 리딩을 의도적으로 했는데 상당히 효과가 있었다. 대화의 목적은 협력업체에서 사내 재하청..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