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자 썸네일형 리스트형 [일머리 스킬] 측정의 힘: 당신의 업무를 숫자로 말해라 "측정할 수 없다면 개선할 수 없다." 이 말을 들어본 적 있는가? 여기서 측정한다는 것은 무엇일까? 바로 숫자로 표현하는 것이다. 당신의 업무를 숫자로 말할 수 있다면, 이는 곧 당신이 업무를 명확히 이해하고 있다는 증거다. 하지만 많은 이들이 자신의 업무, 특히 정성적인 업무를 숫자로 표현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낀다. 이는 우리가 정성적인 표현을 더 자주 사용하고 익숙하기 때문이다.1. 측정, 왜 중요할까?객관성 확보: "느낌이 좋아요"보다는 "만족도 85%"가 명확하다비교가 쉬워진다: 지난달과 이번 달, 우리 팀과 다른 팀. 숫자가 있으면 비교가 한결 수월하다.소통이 편해진다: 복잡한 상황도 숫자 하나로 쉽게 설명할 수 있다.결정을 잘 내릴 수 있다: 찍는 느낌이 아니라 데이터에 기반해 결정을 내릴.. 더보기 [일머리 스킬] 보고서에서 숫자와 표를 다루는 방법 오늘은 백우진 작가님의 『1% 일잘러의 글쓰기 비밀노트』에서 다룬 보고서 작성 시 숫자와 표의 기본적인 사용법을 공유하고자 한다. 이는 기초적인 지식이지만, 모든 직장인이 반드시 지켜야 할 중요한 규칙이다. ** 숫자의 기본 표현 ** 중복된 수식어 제거하기 - "평균 약 70만 원 정도로 집계됐다"는 "평균 약 70만 원으로 집계됐다" 또는 "평균 70만 원 정도로 집계됐다"로 수정한다. - "과반수 이상이 그 안건에 반대했다"는 "과반수가 그 안건에 반대했다"로 간소화한다. - "연간 약 40~50여 편 이상을 감상한다"는 "연간 40여 편을 감상한다"로 표현한다. 소수점 두 자리 사용 최소화 - "0.01% 증가"는 "보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 숫자의 정확성보다 명료함을 우선시한다 - "열량이 7.. 더보기 [책] 숫자로 일하는 법(저자: 노현태) 나는 숫자의 매력을 명료함이라 생각한다. 명료함의 사전적 의미는 뚜렷하고 분명하다이다. 즉 숫자로 표현하면 나의 표현을 상대방에게 명료하게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정확하게 사용된 숫자는 나이불문, 국적불문 누구나 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일을 잘하기 위해서는 업무에 있어 숫자를 잘 사용하고 활용하는 것이다. 책 숫자로 일하는 방법에 대해 저자는 4가지 숫자 사고력, 숫자 해석력, 숫자 구성력, 숫자 보고력으로 나눠 설명하고 있다. 첫 번째 숫자 사고력은 복잡한 일을 단순하게 한다는 것이다. 정확히 아는 것은 3가지를 아는 것인데 정의(말하는 대상이 무엇인지 아는 것), 논리(말하는 대상의 논리를 아는 것), 효과(자신이 설명한 것이 어떤 효과를 불러일으키는지 아는 것)라고 기술하고 있는데 공감이 된다..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