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결정 썸네일형 리스트형 [일머리 스킬] 판단력 높이는 나만의 방법 업무 중 결정해야 하는 상황이 생겼을 때 올바른 판단을 할 수 있는 판단력은 아주 중요한 일머리 스킬이다. 판단력은 의사결정을 해야 하는 관리자만의 능력은 아니다. 실무자도 순간순간 발생되는 상황에 대한 올바른 판단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올바른 판단을 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나는 올바른 판단을 위해 3가지를 해야 한다. 첫째는 현 상황을 정리해야 한다. 누군가가 급히 판단을 요청하면 그 순간 바로 입으로 뱉지 말고 잠시 시간을 달라고 요청하는 것이 좋다. 상대방이 빨리 판단을 요청하여도 1~2시간 정도 시간을 벌여 두는 것이 좋다. 해당 시간에 상대방이 요청하는 것, 상대방이 원하는 것, 그 상황을 수용 또는 거부했을 때 향후 반응 등 간단한 것이라도 일단 적어봐야 한다. 적는 것과 머릿속에.. 더보기 [일머리 지식] First Mover가 항상 좋은 것은 아니다. 대한민국은 Faser Follower에서 벗어나 First Mover가 되어야 한다는 신문기사를 본 적이 있다. 맞는 말이고 장기적으로 방향도 맞지만 실행에 있어 쉽지 만은 않다. 왜냐하면 First Mover가 겪어야 하는 시련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우선 시장의 수요를 개척해야 한다는 가장 큰 난제가 있다. 처음 개발한 제품이나 서비스가 시장에서 얼마큼 통할지 모른다. 초기 시장을 개척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마케팅 등)도 수반된다. 그래서 어느 정도 시장이 개척된 곳을 뛰어들어 경쟁하는 것이 더 쉽고 리스크도 적다. 어제 어머니께서 새롭게 농사를 지은 블랙사파이어 포도를 판매하기 위해 수요를 조사하다가 한번 더 현실을 실감하게 되었다. 마트 사장님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었는데 kg당 20,000원을.. 더보기 [일머리 지식] 의사 결정(AHP 분석 방법) 일을 하다 보면 대안을 수립하고 무엇을 선택할 것인지 결정해야 하는 상황이 왕왕 발생한다. 그때 가장 좋은 대안을 어떻게 선택해야 할까?라는 고민을 많이 했었다. 보통 이런 고민들은 정량적인 수치가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실제로 일상업무에서 정량적인 데이터를 확보하여 의사결정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왜냐하면 수치화가 가능하면 고민의 여지가 많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그래서 정량적인 데이터가 없는 의사결정의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분석 방법을 소개하려고 한다. 작년도에 회사에서 있었든 사례를 들어 설명해 보겠다. 회사는 매년 협력사 평가를 하는데 납기/품질의 실적 점수 외 가점항목으로 정성적인 3가지 항목을 가지고 가장 우수한 업체와 보통 업체를..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