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는 여러 종류가 있지만 새로운 것을 기획하거나 제안하는 보고서와 현재 발생된 문제나 이슈의 현황을 보고 하거나 조치, 해결하는 보고서가 있다.
그중에서 새로운 것을 기획, 제안하는 보고서가 문제 해결형 보고서 보다 까다롭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한다.
그 이유는 두 가지가 있다.
첫째는 문재 해결형 보고서는 기획/제안 보고서 보다 보고 받는 사람의 해당 문제에 대해 이해 수준이 높다.
둘째는 문제 해결형 보고서는 창의적인 생각보다는 과거 해결 경험으로 조치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현업 부서에서는 기획/제안 형태의 보고서보다는 문제 해결형 보고서를 많이 쓰고, 기획/제안 보고서는 별도의 기획부서에서 작성하여 현업에 플로워 다운시킨다.
그래서 현업 부서에서 문제해결형 보고서와 기획/제안서까지 잘 만들 수 있다면 다른 구성원과 차별화된 가치를 보여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현업 부서에 몸 담고 있더라도 꾸준히 기획/제안서 작성 역량을 쌓아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그럼 기획/제안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나는 기획/제안서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메시지(결론)이라 생각한다.
메시지의 기본은 당신의 제안에 상대가 흥미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대방이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은 두 가지다.
첫째는 상대의 관점에서 상대가 얻을 수 있는 이익과 실행하지 않아 발생되는 손실을 강조해야 한다.
대부분의 기획/제안의 최종 전결권자는 팀장이상이다. 그들은 회사 내에서 승진이 필요한 사람들이다. 그분들은 해당 기획/제안서가 가져다 줄 이익과 실행하지 않아 발생되는 손실이 강조되어야 전결권자의 상위 직급인 본부장, 사장에게 어필할 수 있게 된다.
둘째는 가능하면 상대방이 이해하기 쉬운 말로 상대방이 얻을 이익을 설명해 주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이 노트북은 인텔코어. I7 CPU 장착했습니다." 보다 "이 노트북은 영화 한 편을 다운로드하는데 이전의 10분 내외에서 대폭 단축되어 단 2분이면 가능합니다."가 효과적이다.
결론적으로 기획/제안서를 만들때 어떤 메시지를 던질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이 기획/제안서의 핵심이다. 그래서 끊임없이 한 문장으로 메세지를 함축하는 연습을 해야 한다. 두리뭉실하거나 임팩터 없는 메시지는 아무리 좋은 디자인으로 포장하여도 픽업될 수 없음을 명심해야 한다.
'일머리 스킬 쌓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머리 스킬] 기획 보고서는 다른 사람에게 보여주고 발표해라 (0) | 2023.07.07 |
---|---|
[일머리 스킬] 좋은 질문의 중요성과 방법,조건 (0) | 2023.07.06 |
[일머리 스킬] 분석의 시작 분해와 분류 (0) | 2023.07.04 |
[일머리 스킬] 문제 해결은 재현 가능해야 한다. (1) | 2023.07.03 |
[일머리 스킬] 해야 할 일보다 하지 말아야 할 일을 생각하자 (0) | 2023.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