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유튜브(이지선생님)에 출연한 입찰 프레젠터는 좋은 프레젠터가 되기 위해 경험의 중요성을 아래와 같이 말하는 것을 보고 공감되어 글을 남긴다.
저는 좋은 프레젠터가 되기 위해서 정말 많은 다양한 경험을 엄청나게 하시는 걸 추천드려요. 물론 프레젠터로서 말하기, 이미지 연출 역량 이런 스킬적인 부분은 중요하지만 충분히 언제든지 배우고 할 수 있어요. 하지만 경험을 쌓는 것은 많은 시간이 필요하고 그게 나만의 노하우가 되고 결국 그 속에서 나의 멘트가 나오고 나의 순발력과 그런 기지가 발현이 되는 거든요. 그래서 어떤 특정 분야에 너무 국한하지 말고 모든 가능성을 열고 최대한 있는 그대로 경험들을 많이 하시는 것을 추천드려요
지식과 스킬보다 경험이 왜 중요할까?
나는 2가지라고 생각한다.
첫째는 경험을 통해 우리가 미처 생각지 못한 것을 얻을 수 있다.
둘째는 경험은 생각의 폭을 확장하게 하고 경험을 통합하여 더 좋은 생각을 발현시킬 수 있다
이론을 통한 지식 습득과 해당 업무를 잘하기 위한 스킬로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처하는 역량을 기르기는 한계가 있다. 마이크타이슨이 말했었다. "누구나다 그럴싸한 계획이 있다. 쳐 맞기 전에는"이라고, 동일한 일도 그때그때 상황에 따라 변화는 데 하물며 조금 다른 업무를 진행할 때는 예상치 못하는 일들이 더욱 많이 발생된다. 그런 상황에서는 배운 것을 토대로 문제를 해결하기는 힘들다. 배운 지식과 평소 연습한 것에 토대로 유사한 경험들로 대처한 사례를 모두 활용하여 풀어나가야 한다. 그렇기에 다양한 경험은 위기 대응 능력을 길러주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경험은 생각의 폭을 확장하고 통합하게 한다. 가령 한 회사에 오랫동안 근무한 사람은 현재의 시스템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더 좋은 방향을 제시하기 힘들다. 그래서 우리는 타사 벤치마킹을 하는데 이 또한 피상적으로 살펴볼 수밖에 없어 효과성은 많이 낮다. 오히려 다른 곳에서 해당 업무를 수행한 경력사원을 채용하여 개선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그렇다면 왜 현재의 구성원들은 좋은 생각을 만들지 못하는 것일까? 경험의 부족 때문이다. 본 적이 없고 사용한 적도 없는 것을 능숙하게 처리하는 것도 힘든데 그것을 응용. 통합하여 더 나은 방향을 제시하는 것은 더더욱 힘들다.
그렇기에 우리는 다양한 경험을 해야 한다
가끔 후배들이 본인의 업무에 관해서 지식과 스킬을 쌓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면 나는 다양한 경험을 하라라고 권한다. 다양한 경험이라고 해서 직무를 바꾸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일이 생기면 선뜻 나서서 시도해 보는 것이다. 회사 생활하면서 다양한 경험을 하기 힘드니 특별한 일, 새로운 일이 발생되면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경험을 쌓는 것이 좋다.
지식과 스킬이 어느 정도 쌓이면 새로운 경험을 통해 지식을 확장하는 것이 필요함을 잊지 말아야 한다.
'일머리 태도 쌓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머리 태도] 불편함이 성장의 기회를 만든다. (0) | 2023.09.03 |
---|---|
[일머리 태도] 나의 약점을 과감히 드러내자 (0) | 2023.09.02 |
[일머리 태도] Strong opinions, Loosely held!! (0) | 2023.08.17 |
[일머리 태도] 잘잘못 보다 근본 원인을 생각하는 습관을 가지자 (0) | 2023.08.08 |
[일머리 태도] 목적 중심 사고를 하자 (0) | 2023.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