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머리 태도 쌓기

[일머리 태도] 문제 의식의 중요성

728x90

나는 문제의식이 높은 동료들을 좋아하는 편이다. 간혹 문제의식을 불평불만 정도로만 생각해서 비판하지만 그것은 문제의식의 잘 못 이해한 것에 비롯된 것이다. 문제의식은 문제에 대한 인식만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문제를 인식하여 바꾸려고 하는 태도까지 포함하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문제의식: 문제점을 찾아서 그에 적극적으로 대처하려는 태도 또는 대상에 대하여 문제를 제시하고 해답을
                 유도해 내고자 하는 자각이다 (표준국어사전/ 뉴에이스 국어사전)

문제의식이 높은 사람들은 평소 자신의 업무와 일에 대해서 많은 고민을 한다. 고민을 많이 한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의 생각의 폭과 아이디어는 확연히 차이가 난다. 그 차이점은 팀 아이디어 회의나 연말 차년도 팀 중점업무 계획 수립 시 드러나게 된다.

평소 자신의 업무나 회사의 업무 프로세스에 대해 문제의식을 가지고 고민한 친구들은 다양한 아이디어와 생각을 토해낸다. 그런데 그냥 주어진 과업만 열심히 수행한 친구들은 선뜻 아이디어를 제출하지 못한다. 

이것이 왜 문제의식을 높여야 하는 것인지를 여실히 보여주는 것이다. 일을 잘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업무에 대해 늘 문제점은 없는가를 체크하고 보완해야 한다.

내가 문제점을 찾아 보완하면 그것은 체크가 되고 남이 문제점을 지적하여 보완하면 그것은 하자가 된다. (유튜브)

문제는 드러나서 쉽게 인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는 반면에 수면에 잠겨 의식으로 '보지'않으면 인지할 수 없는 것이 있다. 근데 대부분 드러난 문제는 남들도 쉽게 말할 수 있고 개선할 수 있는 것이라 가치가 높지 않다. 하지만 수면에 잠겨 있는 문제는 대박이 되는 경우가 많은데 그런 문제들을 찾아 개선하면 훌륭한 성과를 만들 수 있다. 

그래서 자신이 하는 일과 회사 전반적인 업무에 대해  문제의식을 가지고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럼 문제의식을 가지기 위해 우리가 가져야 할 자세는 무엇일까? 나는 아래 태도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관찰을 잘 하자(사물, 문서, 행동 등을 보면서 그냥 지나치지 말고 특이점이 없는지, 왜 그런 것인지를 생각하자)
    ※ 컬러 배스 효과라는 것이 있다. 특정한 "색"이나 "모양"을 의식하면 평소에 지나쳐 버린 부분도 눈에 들어오는 경향
        을 말함. 
  • 가설/추리를 해보자(만약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여 생각해 보자. )
  • 메모하자(문제점을 적고 왜 문제라고 생각하는지를 간단히 메모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