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논문 준비를 위해 자료를 찾다가 숙련과 다기능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이해하게 되어 적어본다.
제조업에서 생산 작업자의 숙련과 다기능은 핵심 경쟁력 중 하나이다. 최근 자동화와 로봇 도입으로 중요성이 간과되고 있으나 제조업에서 제품이 실현되는 곳이 생산현장이고 생산작업자의 손에서 비롯된다.
그런 만큼 작업자의 숙련과 다기능은 품질, 생산성, 안전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래서 우리는 늘 생산 작업자의 숙련도 향상과 다기능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럼 숙련과 다기능화는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일까? 생산 현장에서는 숙련과 다기능을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래서 숙련의 조건의 다기능으로 판단하기도 하고 다기능을 말하면서 해당 직무 내의 작업들을 얼마나 잘 수행하고 있는지를 평가하기도 한다. 즉 혼용하여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숙련과 다기능은 어떻게 구분되고 사용되어야 하는 것인가?
다음은 "제조업 생산직근로자의 스킬형성 유형과 인적자본, 학습경험 및 직무경험 특성의 관계, 서예린/정진철" 논문을 기초로 정리하였다.
- 스킬과 숙련의 차이
- 스킬(skills)은 업무 능력(work ability)으로서, 개인이 성공적이고 일관적으로 활동이나 과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학습되고, 학습을 통해 구축 및 확장될 수 있는 지식(knowledge), 자질 (attributes), 능력(capacity)으로 정의된다(OECD)
- 사전적 의미에서 숙련(skilled)은 ‘연습을 많이 하여 능숙하게 익힘 ’이라는 뜻을 가지며, 스킬 그 자체를 뜻하기보다는 근로자가 특정한 스킬을 지속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숙달되는 것을 의미
- 숙련은 스킬의 수준(level)과 관련되며, 이처럼 스킬과 숙련이 가지는 뜻의 차이를 고려한다면, 숙련의 개념을 스킬 그 자체가 아닌 스킬의 형성으로 이해할 수 있음. - 다기능의 의미
- 생산현장에서 근로자의 스킬이 형성되는 과정은 크게 스킬의 폭(breadth)과 깊이(depth)라 는 두 가지 축으로 설명될 수 있음(Koike, 1988; 박기성, 김용민, 2006). 여기서 깊이는 수준 (level)으로 표현되기도 함.
- 근로자가 수행할 수 있는 일 또는 기능의 수가 많을수록 스킬의 폭이 넓다고 할 수 있으며, 이를 스킬의 다능화(multiskilling)라고 표현
- 근로자가 맡은 일을 능숙하게 수행할수록 그 깊이 또는 수준이 높다고 하며, 이를 전문화(specialization)라고 표현할 수 있음(박기성, 김용민, 2006)
- 스킬의 다능화는 스킬의 횡적 성장이 이루어지는 것이라면, 스킬의 전문화는 스킬의 종적 성장이 이루어지는 것
- 스킬의 전문화는 숙련(skilled)과 그 의미가 유사함. - 숙련과 다기능의 관계
- 스킬의 전문화와 다능화 사이에 정 적인 관계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경험적으로 증명(박기성, 김용민(2006)
- 스킬형성 개념의 확장으로 스킬변화는 스킬의 전문화 및 다능화와 함께 생산직근로자의 기술적 전문성을 확보하
향상하는 기술적 다능화로 구분될 수 있음. 일부 선행연구에서는 기술적 다능 화가 다기능화, 즉 스킬 폭의 확대
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기도 함.
- 스킬형성의 유형은 스킬의 깊이 또는 수준이 높아지는 것을 의미하는 전문화 내지 숙련화와 스킬의 폭이 확장되는 다능화로 종합해 볼 수 있음.
본 논문을 기반으로 정리하면(나의 생각)
. 숙련은 스킬의 수준(Level)을 의미하며 Depth에 해당되며, 스킬은 자신의 과업을 수행할 수 있는 생산역량임.
. 다기능은 스킬의 폭(breadth)을 의미하며, 여러 과업을 수행 가능한지를 말함.
. 숙련형성을 스킬의 깊이와 폭으로 정의한다면 숙련도 역시 1차로 본인이 주어진 과업을 얼마나 능숙하게
수행할 수 있는지를 판단(Level)하고 2차로 다양한 과업을 수행가능한지로 평가하면 될 것 같음
반응형
'일머리 지식 쌓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머리 지식] 데이터 시각화_게슈탈트의 법칙 (1) | 2023.08.22 |
---|---|
[일머리 지식] 업무 보고서 글쓰기 방법 (0) | 2023.08.12 |
[일머리 지식] 기억을 착 붙게 하는 'SUCCES 법칙' (0) | 2023.08.01 |
[일머리 지식] 업스트림 사고 방식과 시스템 (0) | 2023.07.27 |
[일머리 지식] 기술적/실용적 글쓰기 (0) | 2023.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