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머리 지식 쌓기/최신 경제 정책 동향

[일머리 지식] 최신 경제정책 동향(8/21~8/25)

728x90

2023년 1/4분기(2월 기준) 임금근로 일자리동향(통계청, 8/25)
  • (총괄) ’23년 1/4분기 전체 임금근로 일자리는 2,020.7만개로 전년동기대비 45.7만개 증가
  • (산업별) 전년동기대비 건설업(9.2만개), 보건·사회복지(8.7만개), 제조업(5.4만개) 등에서 증가
  •  (연령대별) 20대 이하(-6.1만개) 감소, 60대 이상(30.5만개), 50대 (14.1만개), 30대 (3.8만개), 40대 (3.5만개)에서 증가
소프트웨어로 더 나은 미래를 꿈꾸는 42.195시간(과학기술정통신부, 8/25)

‘해커톤(HACKATHON)’이란 ‘해킹(Hacking)’과 ‘마라톤(Marathon)’의 합성어로, 마라톤처럼 42.195시간(무박 3일) 동안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코딩 및 프로그래밍 과정을 거쳐 시제품(프로토타입) 형태의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SW개발 경진대회

경제전망(2023.8월)(한국은행, 8/24)
  • (종합) 국내경제는 지난 5월 전망에 대체로 부합하는 성장과 물가 흐름을 보였으나 하반기 들어 불확실성 확
  •  (’23년 국내성장률) 1.4%로 예상되며, ’24년 성장률은 2.2%로 지난 전망치(2.3%)를 소폭 밑돌 것으로 예상됨
  •  (세계경제) 상반기중 선진국이 서비스를 중심으로 예상보다 양호한 모습을 보였으나, 향후 금리인상 파급영향, 중국경제 회복세 약화 등으로 성장세가 둔화될 전망임
2023년 2/4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통계청, 8/24)
  • (소득동향)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479만 3천원, 전년동분기대비 0.8% 감소(실질소득 3.9% 감소)
  • (소비지출 동향)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69만 1천원, 전년동분기대비 2.7% 증가(실질소비지출 0.5% 감소)
  • (가계수지 동향) 가구당 월평균 처분가능소득은 383만 1천원, 전년동분기대비 2.8% 감소
펜트업 효과(수요 분출 효과) : 외부 요인으로 인해 억제된 수요가 그 요인이 해소되면서 급격히 증가하는 현상
상반기 조선산업 수출 및 수주 고공행진(산업통상자원, 8/22)
  • ’23년 상반기 선박 수출이 전년동기 대비 11.9% 증가한 92.2억불을 달성
  • 상반기 수주는 전 세계 발주량의 29%를 차지하였으며, 우리 주력 선박인 고부가 선박과 친환경 선박은 전 세계 발주량의 61%, 50%를 각각 점유하며 세계 1위를 수성하였으며 특히,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은 전 세계 발주량의 87%를 수주하며 압도적 1위를 석권

 중심으로 예상보다 양호한 모습을 보였으나, 향후 금리인상 파급영향, 중국경제 회복세 약화 등으로 성장세가 둔화될 전망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