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인난이 심각하다. 23년 5월 고용노동부 자료에 따르면 빈 일자리가 21만 개('23년 2월 기준)라고 한다. 노동시장의 한 편에서는 일자리가 부족하고 한 편은 부족한 양극화 현상이 발생되고 있는 것이다. 더욱이 생산가능 인구 감소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어쩌면 구인난은 시작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내가 근무하고 있는 업종 역시 구인난이 심각하다. 물량은 증가되고 있는데 일 할 사람이 없어 난리다. 그래서 최근에 나는 최근 우리 산업에 협동 로봇에 대한 도입을 빨리 검토하여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을 했었다. 앞서 이야기한 인구 감소와 젊은 세대의 노동 기피, 저 임금 등의 상황에서 막연히 사람으로만 필요 인력을 확보하는 것은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협동 로봇 도입 검토를 제안했지만 나 역시 협동 로봇에 대한 깊은 지식을 가지고 있지 않아 최근 논문들을 살펴보면서 협동 로봇이 무엇이며, 어떻게 활용할지를 공부하고 있다.
우선 협동 로봇의 정의부터 살펴보는 것이 좋을 것 같다.
협동 로봇은 인간과 로봇이 같은 공간에서 함께 작업하기 위한 협동 운용(Collaborative Operation)조건을 충족하 산업용 로봇으로 인간과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위해 설계된 로봇이다.
정의에서 살펴보듯이 전통적 산업용로봇과 주된 차이점은 로봇의 작업 영역에 인간이 접근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점이 우리 업종에 협동 로봇을 도입하여 기회를 얻을 수 있는 것이라 판단했다.
협동로봇은 안전요구사항 4가지 충족해야 하는데 규격(ISO10218-1)에 따르면 감시정지, 핸드 가이딩, 속도 및 위치 감시, 설계 또는 제어에 의한 파워 및 힘 제한이 필요하다.
1. 안전정격 감시 정지 모드 : 작업영역에 사람이 없을 경우에만 산업용 로봇처럼 작동
2. 핸드 가이딩: 사람이 수작업 장치를 사용하여 이용
3. 속도 및 위치 감시: 로봇과 사람과의 거리를 모니터링하여 안전거리 확
4. 파워 및 힘 제한: 일정 값의 동력 또는 힘이 감지되면 로봇이 즉각 작동을 멈추면서 사람의 상해를 방지
협동 로봇은 9가지 분야에서 적용 할 수 있다.
1. 이송( Pick&Place): 물건을 집고 나르는 일
2. 머신 탠팅(Machine Tending): 장비에 소재 로딩.언로딩
3. 조립(Assembly): 패스너 체결
4. 적재(Palletizing): 제품, 포장박스 적재
5. 포장(Packing): 제품 포장
6. 몰드 핸들링(Mold Handling): Jig / Mold 등 장착, 탈착
7. 투여(Dispensing): 접착, 밀봉, 도장
8. 연마(Polishing): 가공물 표현 연마
9. 검사(Inspection): 비전 카메라를 활용한 검사
'일머리 지식 쌓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머리 지식] PREP(프렙)과 AREA(아레아) (0) | 2023.07.16 |
---|---|
[일머리 지식] 엑셀 피벗테이블, 동적 범위 설정, 자동 업데이트 (0) | 2023.07.02 |
[일머리 지식] 로봇 (0) | 2023.06.25 |
[일머리 지식] 의사 결정(AHP 분석 방법) (0) | 2023.06.18 |
[일머리 지식] 한글/워드 표 머리글행 반복하는 방법 (0) | 2023.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