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를 추진함에 있어 내 스타일은 상당히 공격적이다. 이 때문에 과거에 함께 일했던 팀장님은 내가 설정한 일정에 여유 시간을 추가로 더해 수정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대부분 내가 설정한 일정을 지킬 수 있었다. 이렇게 업무 추진에 있어 성격적으로 공격적이긴 하지만, 나는 후배들에게 결정을 내릴 때는 보수적으로 접근하도록 조언한다. 이 조언을 듣는, 나의 성격을 잘 아는 후배들이 때때로 의아해하지만, 보수적 접근 사고가 소극적인 태도와 같다고 오해해서는 안 된다. 보수적인 접근 사고가 종종 소극적인 태도로 오해받는 것은 일상적인 현상이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 방식은 소극성이 아니라 극도의 신중함에서 비롯된다.
일을 잘하는 사람은 꼼꼼하다는 평을 받고 늘 보수적으로 접근하되 일단 실행이 되면 대담하게 추진한다. 그래서 일잘러에게 보수적인 접근은 소극적인 태도를 의미하지 않는다. 일잘러에게 보수적인 접근의 의미는 아래와 같다.
보수적 접근은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일들을 미리 예측하고, 그중에서도 예상치 못한 사건이나 자신의 통제를 벗어난 외부 상황까지 고려하여 준비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는 단순히 리스크를 회피하려는 자세가 아니라, 가능한 모든 시나리오를 고려하여 신중하게 준비하려는 자세다.
그래서 일잘러는 보통 새로운 사안이 생기면 아래와 같이 행동하게 된다.
사안에 대해 충분한 지식과 정보를 수집하는 것은 필수적인 준비 과정이다. 이후 분석을 통해 데이터에 기반한 의사 결정의 방향을 설정한다. 또한, 예측하지 못한 상황이나 통제 불가능한 외부 요인들을 세심하게 고려해 본다. 위기 상황 발생 시 대응 방안에 대한 시나리오도 사전에 준비해 둔다. 이렇게 모든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판단을 내린다. 이 과정에서 생각지 못한 상황에 대비해 일정, 자금 등의 자원에 여유를 두는 '룸(Room)'을 계획에 포함시킨다. 이 여유 공간은 미처 준비하지 못한 상황에 대한 안전망 역할을 한다.
보수적으로 접근하되 대담하게 행동하는 것은 상반되는 개념처럼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서로를 보완하는 관계다. 신중한 분석과 준비를 통해 얻은 인사이트와 자신감이 있을 때만이, 우리는 대담하고 결정적인 행동을 취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우리는 불확실한 미래 속에서도 성공적으로 나아갈 수 있는 튼튼한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보수적인 사고와 대담한 행동 사이의 다리를 건너는 여정은, 결국 우리가 더 나은 결정을 내리고, 더 큰 성공을 달성하는 데 필수적인 경로다.
'일머리 스킬 쌓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머리 스킬] 데이터 기반 사고 능력을 기르자 (0) | 2024.03.24 |
---|---|
[일머리 스킬] 구체적인 표현을 사용해라 (0) | 2024.03.21 |
[일머리 스킬] 일 잘하는 사람의 특징: 판단력과 결정 (0) | 2024.02.04 |
[일머리 스킬] 일 잘하는 사람의 숨겨진 능력: 순발력 (1) | 2024.02.02 |
[일머리 스킬] 엑셀 파워쿼리(7)_그룹화+Table.AddIndexColumn (0) | 2023.10.12 |